본문 바로가기
프로그래밍/Android

AndroidManifest.xml

by JLearn 2023. 4. 10.

안드로이드 시스템은 앱이 설치되고 실행될 때 AndroidManifest.xml 파일을 읽어 앱의 구성요소를 파악하고 실행환경을 설정합니다.
AndroidManifest.xml 파일에는 앱 패키지명, 버전 정보, 사용 권한 정보, 구성요소(Activity, Service, BroadcastReceiver, ContentProvider) 등이 기록됩니다.

 

이 정보를 통하여 앱이 실행되는 경우 Android 시스템은 AndroidManifest.xml 파일의 구성요소 정보를 확인하고 실행하며 사용자의  다른 앱과 연동할 때도 AndroidManifest.xml 파일에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여 연동을 수행합니다.

AndroidManifest.xml 파일에는 또한 앱이 사용할 수 있는 권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는 앱이 권한을 요청할 때마다 권한에 대한 설명을 확인 및 수락/거부를 할 수 있습니다. 이것을 통해 사용자 개인정보 화 앱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.

 

AndroidManifest.xml 의 버전정보는 build.gradle파일에 작성된 버전코드(versionCode)와 버전이름(versionName)이 빌드과정을 통해서 AndroidManifest.xml 파일의 <manifest>의 속성인 android:versionCode, android:versionName에 자동으로 기록됩니다.

 

[AndroidMainfest.xml의 <application> 태그 속성]

- android:allowBackup: 백업 허용여부를 지정합니다. "true"인 경우 앱 데이터가 자동으로 백업됩니다.

- android:dataExtractionRules: 데이터 추출 규칙을 정의하는 XML 파일 위치를 지정합니다.

- android:fullBackupContent: 전체 백업 내용을 정의하는 XML 파일 위치를 지정합니다.

- android:icon: 앱 아이콘의 위치를 지정합니다.

- android:label: 앱 이름을 지정하는 문자열 리소스 이름을 지정합니다.

- android:largeHeap: 앱에서 대용량 메모리 사용여부를 지정합니다.

- android:supportsRtl: 앱에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작성된 언어지원여부를 지정합니다.

- android:theme: 기본 테마를 지정하는 스타일 리소스 이름을 지정합니다.

- tools:targetApi: 앱이 대상으로 하는 API 레벨을 지정합니다. "31"인  경우 Android 12를 나타냅니다.

 

'프로그래밍 > Andro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ensity-independent pixels  (0) 2023.04.13
컨텍스트(Context)  (0) 2023.04.11
가상 디바이스(Virtual Device) 생성  (0) 2023.04.10
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정(Settings)  (0) 2023.04.10
buildToolsVersion  (0) 2023.04.06

댓글